1.3. 연구개발 대상의 국내외 현황
- fMRI: BOLD 신호 변화를 이용한 뇌신경 활성화를 간접적으로 측정, 퇴행성질환이나 정신질환 그리고 인지기능 관련 연구들을 수행중임. 높은 시간분해능이 장점
- fMRS: 대사물질의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를 스펙트럼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측정가능. 현재 자극-반응 실험이 활발히 진행중이며 fMRI와 마찬가지로 퇴행성질환이나 정신질환에 적용중임.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대사물질의 변화를 직접 관찰 할 수 있지만, 공간/시간 분해능이 부족함.
- GluCEST: MRS의 단점인 낮은 공간분해능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 현재 2D single slice만 구현되어있음. 3D로 확장시 높은 인가 RF와 길어지는 검사 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음.
- acceleration techniques: CS, deep learning: 검사 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많이 나와있음. 아직 CEST에 적용되지 않음. functional GluCEST 기술의 시간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함.
- 8 channel pTx techniques: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RF가 인가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인가되는 RF 펄스열 개발이 필요함.
2. 추진전략 - 방법 및 추진체계
2.1. 추진전략 - 방법
- 기술구현
- 기술검증
- 기술적용
- 결과보고
- 기술공유
2.2. 추진체계
- 지도교수님과 3-4명 UST 학생이 한 팀을 만들어 협동연구
3.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3.1. 활용방안
- 과제 결과를 정리해서 논문 출판
- 연구재단 과제 신청
- 다른 기관에 기술 이전
3.2. 기대효과
- 공동연구 활성화
- 연구의 지속성 확보
- 성과 창출로 UST 명성 상승
- 학생의 연구과제 관리 능력 상승
4. 학생 지도방안
4.1. 연구지도 및 학업과 연계 방안
- 국내 3대 밖에 없는 7T MRI + 8channel 코일을 활용한 신기술 개발 및 응용
4.2. 학생 진로와 연계 방안
- 연구소 취업
- 병원 취업
- MRI 장비 업체 취업
- 국내외 박사후연수원
- 기술 창업
4.3. 국내외 네트워크 활용 방안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영장류센터 이상래 박사님 --> 영장류 퇴행성 질환모델(AD,PD)
-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손진훈 교수님 --> 성중독, 인지기능,
- 충북대학교 의대 정신과 김시경 교수님 --> 알츠하이머, 조현병, 우울증, 알콜중독
- 충북대학교 의대 신경외과 박영석 교수님 --> 파킨슨, 모야모야, 헌팅턴
- 고려대학교 김정희 박사님 --> 뇌인지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