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 및 절차
실험은 사각형의 색상을 기억하는 변화 탐지 과제 사이에 표적 자극에 알맞는 반응을 해야하는 플랭커 과제가 담긴 형태로 구성되었다. 각 시행이 시작되면 1,000 ms 동안 화면 중앙에 0.33 x 0.33 시각도의 십자 응시점이 나타났다. 그 후 150 ms 동안 기억해야 할 사각형이 제시되었는데, 부담 수준에 따라 하나 혹은 네개의 색깔 사각형이 화면에 나타났다. 화면 중앙에 2.54 x 2.54 시각도로 이루어진 3 x 3 격자 틀 안의 8개의 위치(중앙 응시점 위치 제외) 중 임의로 선택된 곳에 시각도 0.75 x 0.75 크기의 사각형이 제시되었다. 사각형의 색상은 빨강(RGB값: [255 104 180]), 파랑 [0 0 139], 초록 [0 255 0], 노랑 [255 255 0], 보라 [128 0 128], 주황[255 127 80]의 여섯 색으로 이루어졌다\citep*{Roper_2013}. 색상은 무작위로 선택되었으며 같은 색상은 동시에 제시되지 않았다. 기억 자극의 제시 후 1850 ms 동안 응시점 화면이 나타났다. 응시점이 끝나면 100 ms 동안 낮은 부담 유형의 플랭커 과제 화면이 나타났다\citep{Lavie_1995}. 매 시행은 1초의 빈 화면으로 구분되었다.화면으로 나뉘어졌다.
화면 중앙에서 3.01 시각도의 이심율을 가진 가상의 원 위 6개의 위치 중 임의의 장소에 1개의 표적 글자(Z 혹은 X)와 5개의 영어 알파벳 O가 제시되었다. 글자의 크기는 0.81 x 1.01 시각도로 구성되었다. 플랭커 방해자극(Z 혹은 X)은 화면 중심에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7 시각도 떨어진 위치에 2.00 x 2.51 시각도의 크기로 그려졌다. 플랭커 화면은 100 ms 동안 만 나타났고 그 후 1,900 ms 동안의 응시점 화면으로 대체되었다. 틀린 반응이 입력되거나 1,900 ms의 응답 시간이 경과되면 2초간의 피드백이 나왔다. 참가자의 응답이 이루어지고 나면 기억했던 사각형에 대한 검사 화면이 3초간 제시되었다. 검사 화면의 사각형 색상은 이전과 같거나 하나의 색상이 달라져서 나타났다. 실험1의 절차와 구성은 그림 1에 묘사되었다.
참가자들은 실험에 앞서 실험의 설명을 듣고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본 시행 전 36회의 연습 시행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이 실험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연습 시행의 첫 24시행은 플랭커 과제만 제시되었고, 다음 12시행은 기억 과제와 플랭커 과제가 모두 나타났다. 실험 조건은 표적의 종류(Z 혹은 X), 플랭커의 종류(Z 혹은 X), 표적의 위치(여섯 군데 중 하나), 플랭커 위치(왼쪽 혹은 오른쪽), 시각 단기기억 부담의 크기(하나 혹은 네개), 시각 단기기억 검사의 정답(같음 혹은 다름)을 요인으로 하여 총 192 시행으로 구성되어 무선적인 순서로 제시되었다.
본 실험은 32시행 씩 여섯 구획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시각 단기기억 과제의 구두 리허설을 피하기 위해 네 개의 한글 낱자("가나다라")를 소리 내어 말하는 조음 억제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였다\citep*{Oh_2004}. 참가자들은 먼저 제시되는 변화 탐지 과제의 색상을 기억하도록 지시되었다. 그 후 제시되는 플랭커 과제에서는 표적에 알맞은 키를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도록 지시를 받았다. 참가자는 오른손의 검지와 중지를 사용해서 표적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자극과 버튼의 연결은 참가자마다 역균형화 되었다. 플랭커 화면 이후 제시되는 기억 검사 단계에서는 색깔이 바뀌었는지 여부를 3초 이내에 보고해야 했다. 기억 검사의 보고는 왼손으로 네, 아니오 버튼을 각각 누를 수 있게 지시했다. 실험 후 참가자들에게 실험 목적과 의미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