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1에서 발견되지 않은 시각 단기기억 부담의 효과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실험 2에서는 부담 수준이 구획 설계로 진행되도록 변경하였다. 실험 1의 플랭커 효과가 선행 연구의 플랭커 효과(낮은 부담 조건, \citealt*{Roper_2013}: 약 40ms, \citealt{Konstantinou_2014}: 약 120ms, \citealt*{Zhang_2015}: 약 120ms)보다 작았기 때문에 실험 화면의 구성을 \citet{Konstantinou_2014} 와 일치하도록 변경하였다. 이로 인해 실험 2에서 사용된 자극의 크기는 실험 1에 비해 작아졌다.
은 이중 과제와 단일 과제 간의 차이를 배제하고 시각 단기기억 부담 만의 효과를 관찰하여 부담 수준에 따라 플랭커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폈다. 이를 위해 \citet{Konstantinou_2014} 의 실험과 같이 블록 간 시각 단기기억 부담이 하나 혹은 네 개의 사각형을 기억하는 것으로 조작되었다. 실험 3은 실험 2의 부담 없음 조건이 낮은 부담 조건으로 변한 차이 외에는 동일하게 실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