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2

실험 1에서 발견되지 않은 시각 단기기억 부담의 효과를 더 크게 하기 위해 부담 수준이 구획마다 달라지도록 변경하였다\citep{Konstantinou_2014}. 실험 1의 플랭커 효과가 선행 연구의 플랭커 효과(낮은 부담 조건, \citealt*{Roper_2013}: 약 40 ms, \citealt{Konstantinou_2014}: 약 120 ms, \citealt*{Zhang_2015}: 약 120 ms)보다 작았기 때문에 실험 화면의 구성을 \citet{Konstantinou_2014} 와 일치하도록 변경하였다. 이로 인해 실험 2에서 사용된 자극의 크기는 실험 1에 비해 작아졌으며 중립 자극 O가 점(∙)으로 변경되었다.

방법

참가자

실험 1과 마찬가지로 2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였다(평균 23.3세, 여성 7명). 참가자들은 실험 참가에 대한 보상으로 심리학 수업 이수를 위한 크레딧 또는 문화상품권 5000원을 받았다. 참가자의 나안 및 교정 시력은 0.8 이상으로 통제되었다. 모든 과제는 조음 억제를 실시하며 진행되었다.

자극 및 절차

실험의 구성은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실험 1과 동일했다. 응시점의 크기는 0.21 x 0.21 시각도로 작아졌고, 변화 탐지 과제의 사각형은 1.40 x 1.40 시각도로 이루어진 3 x 3 격자 틀 안의 8 곳 중 임의의 장소에 제시되었다. 사각형의 크기는 0.39 x 0.39 시각도였다. 플랭커 화면에서 표적의 배치는 화면 중앙에서 2.00 x 2.00 시각도 이심율을 가진 가상의 원 위 6 곳 중 한 군데에서 나타났다. 표적의 크기는 0.39 x 0.60 시각도였고, 표적 이외의 공간은 알파벳 O대신 점(∙)으로 채워졌다. 플랭커는 화면 중심의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3.49 시각도 떨어진 위치에 0.59 x 0.99 시각도로 제시되었다. 플랭커 과제 화면의 제시시간은 150 ms으로 약간 길어졌고 이에 따라 뒤이어 나타나는 응시점 화면의 제시시간은 1850 ms으로 줄어들었다. 실험 2의 시각 단기기억 부담 수준은 이전 실험과 동일했으며(1 vs. 4), 한 구획 내에서는 같은 수준의 부담이 제시되었다. 구획의 순서는 ABBA 설계로 이루어졌고, 참가자마다 역균형화된 순서로 제시되었다. 참가자들은 16회의 플랭커 과제 연습과 16회의 낮은 시각부담 조건의 이중 과제를 연습한 후\citep*{Roper_2013}, 192회의 본 시행을 수행하였다. 조음 억제를 실시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