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5의 결과. A) 플랭커와 시각 단기기억 자극의 위치가 겹치지 않을 때에는 시각 단기기억 부담이 커짐에 따라 플랭커 효과가 증가하였다. B) 플랭커와 시각 단기기억 자극의 위치가 겹치는 조건에서는 시각 단기기억 부담에 따른 플랭커 효과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오차막대는 Cousineau-Morey 신뢰구간을 나타낸다\citep{Cousineau_2005,Morey_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