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1-4의 결과 그래프. A-C는 시각 단기기억 부담 수준에 따라 플랭커 일치 효과가 달라지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실험 1-3). D는 지각 부담의 크기에 따라 플랭커 효과가 달라짐을 나타내며, 지각 부담과 시각 단기기억 부담이 주의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시사한다(실험 4). 오차막대는 Cousineau-Morey의 접근법을 통해 계산된 신뢰구간이다(Cousineau-Morey CI, \citealt{Cousineau_2005,Morey_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