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5.99%의 반응 속도 자료가 가외치로 분류되어 참가자 별로 제거되었다. 2 x 2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각 단기기억 부담이 적을 때(M = 747.80ms, SD = 85.98ms)와 부담이 클 때(M = 733.10ms, SD = 65.44ms)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F(1, 19) = 1.56, p = .23. 플랭커가 표적과 불일치할 때의 반응 속도(M = 762.07ms, SD = 73.30ms)는 일치할 때의 반응 속도(M = 721.18ms, SD = 73.29ms)에 비해 유의미하게 빨랐다, F(1, 19) = 72.31, p < .001. 가장 중요한 시각 단기기억 부담과 플랭커 일치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F(1, 19) = 0.64, p = .43. 플랭커 과제의 정확도를 대상으로 한 분석은 각 조건 간 유의미한 차이를 도출하지 못했다.